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MRI도 정상이지만 계속 아픈 엉덩이 통증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일 수 있어요

by 이노384 2025. 7. 23.
반응형

 

MRI는 정상인데 계속 아프다면? 상둔신경! 썸네일 이미지

엉덩이 바깥쪽이 찌릿하고 욱신거리나요? 상둔신경 포착증후군 일 수 있어요

“허리는 멀쩡한데 엉덩이 한쪽만 계속 아파요.”
“앉아 있다가 일어나면 엉덩이에 전기가 오듯 찌릿해요.”
“MRI도 찍어봤는데 이상 없다는데 왜 이렇게 아프죠?” 혹시 지금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가요? ‘디스크도 아니고, 좌골신경도 아니라는데 계속되는 엉덩이 통증’,
그 원인이 ‘상둔신경(Superior Cluneal Nerve)’ 때문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너무 생소해서 처음 들어보는 분도 많을 거예요. 하지만 이 신경 하나가 우리 삶의 질을 이렇게 바꿔놓을 수도 있다는 걸 오늘 꼭 알려드리고 싶어요.

 

 

상둔신경은 어디에 있고, 왜 아플까요?

상둔신경은 척추에서 갈라져 나와 엉덩이 바깥쪽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이에요.
허리 바로 위쪽에서 시작해서 엉덩이 윗부분을 지나 골반 바깥쪽 피부에 감각을 전달하죠.
평소엔 별문제가 없지만 장시간 앉아 있거나 다리를 꼬는 습관, 한쪽으로 기운 자세,
낙상이나 엉덩이 타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자극받을 수 있어요.
특히 체형 불균형이나 반복되는 근육 긴장이 쌓이면 이 신경이 눌리기 쉬워요.
그렇게 되면 엉덩이 바깥쪽에 찌릿하거나 욱신거리는 느낌, 무거운 감각 같은 통증이 생기는데요, 단순한 근육통과 다르게 계속되거나 자세에 따라 악화될 수 있어요.

 

 

 

디스크도, 좌골신경통도 아닌데 계속 아프다면?

엉덩이 통증이 오래되면 보통 허리디스크나 좌골신경통을 의심하죠. 그래서 MRI도 찍어보고, 물리치료나 침도 받아보지만 “이상 없다”는 얘기만 듣는 경우 많아요.
이런 경우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을 한 번쯤 의심해봐야 해요. 이 신경은 MRI나 CT로는 잘 안 보이고, 증상 위치가 디스크와 겹쳐서 종종 오진되거든요.

 

“상둔신경통은 골반 주위의 비특이적 통증 원인 중 하나로, 영상 검사에 잘 드러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The Korean Journal of Pain, 2021
실제로 몇 달을 고생한 끝에 이 병명을 알게 되는 분들이 많아요. 아래 표처럼 증상이 겹치기도 해서 일반적인 진단으로는 쉽게 드러나지 않죠.
구분 허리디스크 상둔신경 포착증후군
통증 부위 허리~다리까지 엉덩이 바깥쪽
영상 검사 결과 MRI에 이상 흔함 MRI에서 정상인 경우 많음
정확한 진단 비교적 쉬움 진단 어려움(정확한 검사 필요)

 

 

이런 증상이라면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일 수 있어요

상둔신경 압박 증상으로 인한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는 몇 가지 대표적인 증상이 있어요. 꼭 체크해보세요!
  • 허리는 멀쩡한데 엉덩이 한쪽만 계속 아프다
  • 앉을 때 엉덩이가 찌릿하거나 무겁다
  • 엉덩이 바깥쪽을 누르면 통증이 더 심하다
  • MRI상 문제 없는데도 계속 불편하다
  • 운전이나 장시간 앉아있기 힘들다

 

 

상둔신경 포착증후군,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할까요?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은 일반적인 영상검사로는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울 수 있어요. 보통은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신경외과 등에서 진료를 보게 되며, 의심 부위를 손으로 눌러보거나, 통증 부위에 신경차단 주사를 넣어보는 방식으로 진단을 시도해요.
통증이 의심되는 부위를 눌렀을 때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거나, 신경차단술로 증상이 나아진다면 상둔신경 문제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아요. 치료는 증상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시도되며,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호전이 가능해요.

 

치료 방법 설명
약물치료 염증과 통증을 줄이기 위한 약물 복용
물리치료 및 체형교정 근육 이완과 자세 개선을 통한 회복
신경차단술 해당 부위 신경에 약물 주입으로 통증 감소
자세 습관 개선 한쪽으로 기대는 자세, 장시간 앉기 피하기

 

 

치료 시 주의사항과 예후는?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예후가 좋은 편이에요. 하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화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어요. 반복적으로 증상이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해요. 특히 물리치료 후 일시적으로 나아졌다고 해서 무리하게 활동을 재개하면 재발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요. 회복기에 충분한 휴식과 자세교정, 스트레칭 등을 병행하는 것이 좋아요.

[함께 보면 좋은 영상] 둔피신경증후군 자가진단 및 예방법

(이 영상에서 '둔피신경증후군'은 상둔신경 포착증후군과 유사한 개념으로 자가진단 및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꼭 기억해야 할 상둔신경통의 특징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신경통 중 하나예요. 그래서 ‘통증은 분명한데 병명은 안 나오는’ 상태로 오랫동안 고생하게 되는 경우도 많죠. 마지막으로 상둔신경통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 허리 통증 없이 엉덩이 바깥쪽 통증(혹은 허리 통증보다 엉덩이 통증이 더 심함)
  • 엉덩이 누르면 심한 통증, 자세 변화에 따른 증상 변화
  • 영상검사(MRI, CT 등)에서 이상 없음
  • 정확한 진단에는 신경학적 검사나 차단술 필요
  • 보존적 치료로 호전 가능, 재발 주의
이유 없이 엉덩이 바깥쪽이 찌릿하고, 눌렀을 때 유난히 민감하다면 단순한 좌골신경통이 아닐 수 있어요. 특히 영상 검사에서도 아무 이상이 없다면 상둔신경 포착증후군일 가능성을 꼭 염두에 두셔야 해요. 원인을 정확히 알고 진단받는 것만으로도, 통증에 대한 두려움이 훨씬 줄어들 수 있어요. 병명을 아는 순간, 대처가 가능해지거든요. 스스로의 몸에 귀 기울이며, 통증을 오래 방치하지 말고 전문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해드려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